|
한국은 무고객으로 시행하고 있던 경마마저 지난달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중단되고 비대면 발매도 허용되지 않는다. 온라인 발매가 허용되지 않은 것은 말 산업이 활성화된 해외 국가와 달리 국내에서 경마는 도박이라는 인식이 강한 것이 이유로 꼽힌다.
이와 대조적으로 다른 나라들은 말 생산부터 경마 발매까지 유기적 시스템을 구성해 위드코로나 시대에 적응하고 있다.
지난 6월16일부터 5일간 개최된 영국의 로얄애스콧은 온라인 발매에 기반한 무관중 경마로 진행했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경마산업 고용률 유지를 위해 무관중 개최를 적극 지지했다. 로얄애스콧은 전파를 타고 120여개국에 중계되고 전년대비 50% 증가한 베팅규모를 기록했다.
일본은 관중이 없는 경마를 시행하며 오히려 매출이 올랐다. 경마팬들은 전화와 인터넷으로 마권을 살 수 있다. 일본경마중앙회(JRA)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매출은 1조4753억엔(한화 16조3932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1.5% 증가했다.
홍콩도 비대면 발매로 날개를 달았다. 코로나19 광풍에도 2019~2020 시즌은 역대 3번째 매출을 기록했다. 홍콩자키클럽은 ‘세금ATM’이라는 별칭답게 121억1000만 홍콩달러(한화 1조8503억원)를 조세로 납부하며 올해도 홍콩 경제를 이끌었다. 코로나19 발생 초기 홍콩은 지점(장외발매소)을 폐쇄하며 강력한 방역조치를 취했기 때문에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온라인 발매 덕택에 직전 시즌 대비 매출 감소는 2.6%에 머물렀다.
|
호주 퀸즈랜드주는 무관중 경마를 시행하다가 6월22일부터 일부 관중 입장을 허용했다. 퀸즈랜드주의 둠번 경마장과 경마자 이글팜 경마장은 주 정부가 규정한 1인당 4㎡, 2m 기준에 따라 관중을 입장시키고 있다.
2016년 레이싱퀸즈랜드에 따르면 호주 퀸즈랜드주 경마산업의 경제적 가치는 9억6000만 달러(한화 1조1423억원)에 이르고 정규직 종사자만 7500명을 넘는다. 지역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 정부에서도 경마산업을 지속 시행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1920년부터 시작되어 백년 역사를 자랑하는 프랑스 개선문상도 5000명 관중만을 받는다. 평소 5만명이 10월 첫째주 일요일에 파리 롱샴 경마장을 찾았지만 올해는 5000명만 현장에서 경마를 관람할 수 있고 그 외는 경주실황 중계를 통해 온라인으로 대회를 즐길 수 있다. 프랑스는 락다운 기간동안 경마를 중단했다가 5월 무관중으로 경마를 재개했고 7월부터는 5000명으로 입장인원을 제한하여 경마장을 개장했다. 온라인 매출은 2분기 연속 전년대비 증가추세다.
경주마 경매시장도 대면에서 비대면으로 공급방식을 넓히고 있다. 북미에서 가장 오래된 경매 회사인 패시그-팁톤사는 국가 간, 주(州)간 이동제한을 고려해 응찰수단을 온라인과 전화까지 확대했다. 보이드 브라우닝 회장은 “말(馬)이든 부동산이든 자동차든 품질만 좋다면 수요는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매년 구매자들의 구매환경에 따라 공급방식에 있어 점진적인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고 당세마(6개월령) 경매를 앞둔 소감을 밝혔다.한국마사회 관계자는 “경마산업은 생산, 경매, 발매산업과 유기적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경마시행이 차질을 빚게 되면 1차 산업인 말 생산산업이 약화되고, 사료·설비 제조와 같은 2차 산업과 경마서비스, 관광산업과 같은 3차 산업이 모두 흔들린다”면서 “비대면 발매가 허용되지 않는 한국에서의 무고객 경마는 곧 산업으로 재투자할 재원이 고갈됨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
September 12, 2020 at 06:00AM
https://ift.tt/35v54FW
[경마이야기]위드코로나 시대, 세계 경마시장 생존전략은? - 이데일리
https://ift.tt/3d1uQ4H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경마이야기]위드코로나 시대, 세계 경마시장 생존전략은? - 이데일리"
Post a Comment